리플(XRP)이 중기 상승 구조의 갈림길에 섰습니다. 향후 48시간 동안의 일봉 마감이 향후 흐름을 좌우할 가능성이 큽니다. 핵심은 50일 지수이동평균선(EMA)을 지키느냐, 이탈하느냐입니다. 이 기준으로 매수·매도 대응을 정리합니다.
1) 지금 차트의 핵심 포인트
- 50일 EMA 테스트 중 – 최근 상승을 지탱해 온 주요 지지선입니다. 종가 기준 재진입·유지가 관건입니다.
- 거래량 둔화 – 매수 유입이 약하면 작은 매도에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.
- RSI 약세권 – 기준선(50) 아래 머무르면 반등 탄력이 떨어집니다.
- 다음 방어선은 100일 EMA – 50일선이 무너지면 통상 이 구간까지 조정 가능성이 열립니다.
2) 상승 시나리오 – “50일선 회복·유지”가 신호
가격이 50일 EMA 위로 재진입하고 거래량이 전일 대비 뚜렷이 증가할 때가 기술적 반등의 1차 확인 지점입니다. 이후 단기 저항을 돌파한 뒤 눌림이 와도 50일선을 재차 지지한다면, 3.1~3.2달러대(최근 박스 상단권) 복귀가 가능합니다.
- 관찰: 종가 기준 50일선 위 유지, 거래량 증가, RSI 50선 회복
- 대응: 추격보다 돌파 → 되돌림 구간에서 분할 진입, 손절은 50일선 재이탈 종가
3) 하락 시나리오 – “50일선 이탈” 땐 100일선 테스트 대비
종가 기준 50일 EMA를 이탈하면 100일 EMA 테스트 가능성이 커집니다. 이 구간에서 수급이 약하면 반등이 나와도 50일선이 저항으로 바뀔 수 있으니 포지션 사이즈를 줄여 리스크를 관리하십시오.
- 관찰: 이탈 후 되돌림에서 50일선이 저항으로 작동하는지
- 대응: 반등 시 비중 축소, 단기선 하방 구간에선 현금 비중 확대
4) 투자자 유형별 체크리스트
- 단타: 당일·익일 종가가 50일선 위/아래인지 먼저 확인 → 위면 눌림 매수, 알라면 반등 저항 공략·현금 대기.
- 스윙: 50일선 위에서 2~3 거래일 연속 유지 + 거래량 증가 시 분할 매수. 손절은 50일선 재이탈 종가.
- 중장기: 뚜렷한 추세 복귀 전까진 분할·분산과 현금 관리가 핵심.
5) 48시간 ‘결정 창’에서 꼭 볼 3가지
- 종가 위치 – 50일선 위/아래 어디에서 마감했는가?
- 거래량 – 반등 캔들에 거래량이 동반되는가?
- RSI – 50선 재돌파로 모멘텀 회복이 확인되는가?
마무리
이번 구간은 감보다 규칙이 유리합니다. 50일선·거래량·RSI라는 단순 지표만 지켜도 불필요한 추격과 과도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방향성은 곧 확인됩니다. 확인 후 움직여도 늦지 않습니다.
※ 본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시장 의견이며, 특정 자산의 매수·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. 투자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
태그: #리플 #XRP #기술적분석 #코인전망
본 블로그는 Google AdSense를 활용해 광고를 게재하며, Google은 쿠키를 사용해 방문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광고를 제공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개인정보 처리방침 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.
'리플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속보] 리플-SEC 소송 마침표: 항소 기각, XRP 규제 리스크 해소 (2) | 2025.08.26 |
---|---|
리플, 다시 날아오를까? 국내외 기사로 본 XRP 37% 랠리 시나리오 (0) | 2025.08.24 |
XRP 롱 스퀴즈 쇼크 – 단기 급락 이후 시장 향방은? (8) | 2025.08.22 |
리플(XRP), 규제 불확실성 해소 임박 – 내일을 향한 도약 (4) | 2025.08.17 |
리플(XRP) 투자일지 – 나의 2만 개 보유 이야기 (11) | 2025.08.03 |